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6

LH 청년전세임대, 계약 연장 및 이사하기 저번 포스팅에서는 청년전세임대제도가 무엇인지, 얼마짜리 집에 살 수 있고, 한 달에 얼마를 내면 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청년전세임대제도를 활용하고 있는 분들 중에서도 계약연장이나 이사를 생각하고 계신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1. LH 청년전세임대, 재계약하기(계약 연장)LH 청년전세임대제도는 한 번 계약할 때 2년을 기준으로 총 2번 연장가능합니다. 총 6년을 살 수 있는 거죠. 계약이 만료되기 3개월 전쯤, LH에서 우편물을 하나 받게 됩니다. 재계약할 의사가 있는지, 이사할 예정인지, 계약을 종료할 건지 확인하기 위함인데요. 먼저 이사는 하지 않고, 계약만 연장하는 경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1. (동일 재계약) 전세금 변동 없이 현재주택에서 계약 연장하는 경우원래 계약했던 전.. 2023. 1. 16.
10만원짜리 월세가 있다고? LH 청년전세임대 알아보기 한 달에 50만 원씩 피 같은 돈을 월세로 내고 있나요? 전세를 구하고 싶지만, 몇 천만 원에서 억 단위 되는 돈을 부모님에게서 지원받을 수도 없고 내가 그 돈을 가지고 있지도 않다면 오늘 저와 함께 LH 청년전세임대 제도에 대해 알아보면 좋겠습니다. LH는 풀네임 한국토지주택공사로 토지, 주택의 공급과 관리업무를 담당하는 공기업입니다. 자본금 전액은 정부가 출자하고 있으며, 도시 조성이나 도시재생사업 외에도 다양한 주거복지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오늘 알아볼 LH 청년 전세 임대제도 입니다. LH 청년전세임대란?청년층(대학생, 취업준비생, 만 19세~39세)의 주거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주택을 전세계약 체결해서 저렴하게 재임대하는 사업입니다. 쉽게 말해서, 내가 원하는 집을 LH에서 나.. 2022. 12. 12.
[New] 하루만에 쏠쏠한 이자! 파킹 통장 금리 비교 요즘 경제가 휘청이면서 은행에서도 예금금리를 인상하면서 파킹 통장을 이용하는 것이 열풍입니다. 오늘은 입출금이 자유롭고, 돈을 하루만 넣어놔도 이자가 붙어서 월급 통장으로도 사용하기 좋다고 말씀드렸던 파킹 통장에 대해서 알아보고 어느 상품을 선택하면 좋을지 금리 비교도 해보려고 합니다. 파킹 통장이란? 파킹 통장은 '자유 수시 입출금 통장'이라고도 하며 주차장에 차를 넣었다 빼듯 수시로 돈을 넣었다 뺄 수 있어서 파킹 통장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고 합니다. 파킹 통장은 하루만 돈을 맡겨도 이자가 붙어서 목돈을 맡겨두면 이자를 쏠쏠하게 받을 수 있으면서, 예금자보호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에 돈을 맡겨놓던 1 금융권의 보통예금, 수시 입출금 통장에는 장기간 돈을 거치해도 이자는 거의 받지 못하는 수준이.. 2022. 11. 3.
사회초년생의 월급 관리, 저축 시작하기 대학교를 졸업하고, 취업준비생이라는 인고의 시간을 지나 이제 막 사회생활을 시작한 사회초년생들을 위한 이야기입니다. 돈을 벌면 무엇을 하고 싶으셨습니까? 저는 첫 월급을 타고는 주변의 고마웠던 사람들에게 선물도 하고, 이후에는 제가 너무 갖고 싶었던 물건들 사모으고, 소비하는 것에만 재미를 느꼈습니다. 주변 사람들은 '일찍 취업했으니 2~3년은 쓰고만 살아도 본전이다!' 이야기했고, 그 말을 핑계 삼아 소비 습관을 지속했습니다. 어느덧 시간이 흘러 내 통장을 돌아보았을 때 저축한 돈이 100만 원도 없었습니다. '이제부터라도 저축을 해 보자!' 생각한 후에 실천하고 있는 이야기, 팁을 공유해 보려고 합니다. 1. 풍차 돌리기, 그게 무엇인가요? 저축하고자 마음먹고 주변 선배들에게 도움을 청했을 때 추천받.. 2022. 11. 2.
반응형